View more

지구를 위한 핀란드 디자인 실험 Designs for a Cooler Planet 2025

  • Date

    2025.10.15
  • Share

지구를 위한 핀란드 디자인 실험 Designs for a Cooler Planet 2025

 

헬싱키 알토 대학교에서 매년 열리는 '더 시원한 지구를 위한 디자인 Designs for a Cooler Planet' 전시는 단순한 디자인 쇼케이스가 아니다. “Acts of Change(변화의 행동들)”이라는 주제로 열린 올해 전시는, 지구적 한계 속에서 디자인과 과학, 기술이 어떤 방식으로 더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 전시는 9월 5일부터 10월 28일까지 오타니에미 캠퍼스의 Marsio 건물에서 열리며, 15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공개됐다. 이 전시는 헬싱키 디자인 위크와 협력하며, 그 성과를 인정받아 2025 헬싱키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했다.

전시 입구 전경. 사진출처: 서정애



건축과 재료 혁신

전시장 초입에는 실제 생활이 가능한 '소형 주택 그림자Tiny House Shadow'를 선보였다. 재활용 강철, 낡은 어망, 목재 등으로 지어진 34㎡ 규모의 집은, 건설 자재 사용량을 절반 이상 줄이고도 주거의 기본을 충실히 담아낸다.

34㎡ 규모의 친환경 주거 실험. 재활용 자재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는 집은, 지구 경계 내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탐색한다. 사진출처: 서정애

 

사진출처: 서정애

 

또 다른 건축 프로젝트 Kasvu(핀란드어로 성장이라는 의미)는 모듈형 목재 유닛으로, 공장에서 평면으로 제작해 현장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다. 크레인 같은 중장비 없이도 설치 가능한 설계는 주거 건축을 훨씬 더 유연하게 만든다. 평면 부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목재 모듈 주택. 필요에 따라 해체와 재구성이 가능하도록 디자인되었다.

사진출처: 서정애

 

Kasvu 내부 모습. 사진출처: 서정애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신소재

또 하나 눈길을 끄는 실험은 “마이코텍처(Mycotecture)”, 즉 효모로 짓는 건축이다. 빵을 발효 시키거나 맥주를 만들 때 쓰는 익숙한 미생물인 효모가 이번에는 건축 자재가 된다. 알토대학교의 티나 뉘펠뢰(Tiina Nypelö) 교수 연구팀은 식품 산업에서 나오는 효모 부산물을 모아 새로운 바이오 매스를 만들고, 이를 3D 프린터로 뽑아냈다. 그 결과로 갈색의 작은 패널, 블록을 선보였다. 효모를 활용한 건축은 자원을 새로 캐내지 않고, 이미 있는 부산물을 다시 쓰기 때문에 환경 부담이 훨씬 적다. 또, 프린터만 있으면 원하는 모양을 현장에서 바로 찍어낼 수 있어 건축 과정도 훨씬 유연해진다. 말 그대로 자연과 기술이 만난 새로운 건축 방식이다.

Myotecture 효모 기반 구조 샘플로 효모 바이오매스를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건축 자재. 사진출처: 서정애

 

베아콘 BEACON 프로젝트는 건설 산업의 가장 큰 난제 중 하나인 시멘트 사용을 정면으로 다룬다. 핀란드 특유의 부드러운 점토 지반을 안정화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쓰이던 시멘트 대신, 연구팀은 바이오차를 제안한다. 이 접근은 토양을 강화하는 동시에 탄소를 저장소로 바꿔, 기후 대응의 실질적 수단이 된다. 또한 현장에서 버려지는 잉여 점토까지 새로운 자원으로 되살려, 자재 순환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바닥에는 검은색 바이오차 시편이 전시되어 있다. Beacon 프로젝트는 이를 건축 기초 보강재로 사용해, 동시에 탄소 흡수원으로 기능하게 만든다. 사진출처: 서정애

 

바이오차(biochar)는 나무, 농업 부산물, 음식물 쓰레기 같은 유기물을 산소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가열해 만든 ‘숯 같은’ 탄소 물질이다. 다공성 구조 덕분에 토양에 섞으면 물과 영양분을 붙잡아 주며, 무엇보다 대기 중으로 나갈 탄소를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탄소 저장소 역할을 한다. 농업에서는 토양 개량제로, 건축에서는 지반 보강재와 기후 대응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벽 한쪽에는 ‘이것은 문이 아니다(Ceci n’est pas une porte)’라는 작업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핀란드 건설 산업의 낭비 문제를 직설적으로 드러낸다. 핀란드에서는 매년 140만 톤의 건설 폐기물이 발생하지만, 많은 철거가 사실은 불필요하게 이루어진다. 건축 규제가 오히려 불필요한 개보수와 철거를 부추기기도 하며, 나아가 EU가 제시한 70% 재활용 목표와도 거리가 멀다. 연구진은 “건축의 첫 번째 선택지는 항상 기존 건물의 유지와 보수여야 하며,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최소한 자재라도 재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사진출처: 서정애

이 프로젝트는 설치물에만 그치지 않는다. 연구진은 현장의 질문을 담은 여러 권의 소책자를 출판했다. “지붕 기와는 재활용될 수 있을까?” “낡은 창문은 다시 쓸 수 있을까?” “새 연립주택에 꼭 기계 환기가 필요할까?” 같은 질문들이 책의 제목이자 내용이다. 거대한 통계나 이론 대신, 건축가와 시민이 실제로 마주하는 구체적인 의문을 던지며, 규제와 현실 사이의 간극, 그리고 자재 재사용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작은 책 속 질문들은 건축 폐기물이라는 거대한 문제를 가장 직접적이고 일상적인 언어로 드러내는 결과물이 된다.

 

순환 경제의 실험

작은 콘크리트 샘플들은 폐기물을 재활용해 만든 Eco-concrete다. 기존 콘크리트보다 탄소 배출을 줄였지만, 강도와 조형적 질감은 그대로 유지했다.

폐기물로 만든 친환경 콘크리트. 자원의 순환이 곧 새로운 미감을 낳는다. 사진출처: 서정애

 

전시장 한 켠에는 무봉제 니트 의상이 전시되어 있다. AI knitwear design 프로젝트는 알고리즘 기반 설계를 통해 절단과 봉제가 필요 없는 직물을 만든다.

AI knitwear 의상 디스플레이. 재단과 봉제 없이 제작된 낭비 없는 패션을 위한 알고리즘 디자인. 사진출처: 서정애

 

헬스케어 혁신

마네킹이 착용한 EEG 캡과 재킷은 모바일 이미징 기술의 일부다. 이 장치는 일상 속에서 뇌파와 신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이 치매 위험을 조기에 감지하도록 돕는다.

뇌파와 신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장치. 고령화 사회에 꼭 필요한 조기 진단 도구. 사진출처: 서정애

 

산업과 사회를 잇는 플랫폼

Building 2030은 알토 대학교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으로, 건설업계의 20개 파트너가 참여한다. 목표는 디지털화와 도시화가 가속되는 시대에 지구적 한계 안에서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설 방식을 찾는 것이다. 신뢰성, 사용자 중심, 지속가능성, 생산성, 혁신성이라는 다섯 가지 원칙은 핀란드 건설 산업의 미래 전략을 상징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전시장 한쪽에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바이오 재료를 공예 수업에 활용하는 ‘놀라운 재료 Marvelous Materials’ 프로젝트가 소개되었다. 버섯 균사체, 재활용 섬유, 바이오 플라스틱 등을 직접 만들어 바이오 자원의 미래를 배울 수 있는 책이 소개되었다.

어린이 워크숍 결과물 ‘놀라운 재료 Marvelous Materials’ 어린이들이 직접 손으로 만지고 배우는 바이오 재료의 실험 캠프의 결과물을 전시했다. 사진출처: 서정애

 

올해 Designs for a Cooler Planet은 작은 아이디어와 실험이 어떻게 사회와 산업을 바꿀 수 있는지 보여준다. 효모 블록, 모듈형 목재 집, 웨어러블 EEG 장치, 자연 재료 실험 등. 이 모든 것은 거대한 담론 보다는 작은 실천의 힘을 강조한다. 그리고 바로 그 점이 이 전시가 헬싱키 디자인 어워드를 받은 이유일 것이다. 변화는 선언에서 시작되지 않는다. 변화는 전시장에 놓인 저 작은 결과물 처럼, 작은 행동에서 시작된다.

전시 웹사이트 https://www.aalto.fi/en/designs-for-a-cooler-planet
 

서정애(핀란드)
-Aalto대학 Masters of Arts and Design, Product and Spatial Design 졸업
-아에오 AAA 식경험 디자인 컬렉티브 운영
-Juneinwinter 대표 (제품회사)
 

기사원문링크>
https://www.designdb.com/?menuno=1283&bbsno=5098&siteno=15&act=view&ztag=rO0ABXQAOTxjYWxsIHR5cGU9ImJvYXJkIiBubz0iOTkxIiBza2luPSJwaG90b19iYnNfMjAxOSI%2BPC9jYWxsPg%3D%3D#gsc.tab=0

목록으로

뉴스레터 구독신청
완료되었습니다.